top of page
  • 유튜브
  • LinkedIn Social Icon
  • Facebook Social Icon

[Volume.6 AI Powered IoT solution company - NOVUSMAY]

  • Writer: Paul
    Paul
  • Jan 26, 2020
  • 5 min read

"새로운 시도" 라틴어 NOVUS와 영어 MAY가 결합된 이 회사의 명칭이자 비전이다


81년생 동갑내기 친구인 박민효 대표이사, 이창민 대표이사가 쌍두마차가 되어 견인하고 있는 작고 강한 기업을 들여다 보자


- Research Date: 2020년 1월 26일

- 회사명: (주)노버스메이

- 웹사이트: http://www.novusmay.com/

- 비즈니스 영역: 소프트웨어컨설팅, IoT 플랫폼, 기술지원 컨설팅

- 솔루션: 52시간 근무관리 솔루션 타임키퍼, S/W 자산관리 솔루션 샘큐, 현장안전관리 솔루션 세이프프로

- 보유기술: 세이프프로 안전모 KC인증, 세이프프로 중계기 KC인증, 해당 S/W 지적재산권 등

- 본사: 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동 마천로 39길 33 노버스 빌딩

- 연구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동 마천로 39길 33 노버스 빌딩 3층

- 지사: 부산, 목포, 베트남 호치민

- 설립: 2014년 2월 25일

- 직원: 58명

- CEO: 박민효 대표이사, 이창민 대표이사

- 누적투자액: -

- 경쟁사 및 잠재 경쟁사: Shiftee, NBP 워크플레이스, 더존 비즈박스 알파

- Information Source: Google, 노버스메이


작년 5월 이후의 공백으로부터 올 해 처음 작성하는 리서치이다

새해에는 어떤 청년기업들이 팔딱팔딱 뛰고 있는지 나에겐 초미의 관심사이자 흥미거리가 아닐 수 없다


노버스메이의 기업 슬로건은 사람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새로운 시도의 솔루션을 기업과 근로자에게 제공하여 편안한 근무 환경, 기존보다 개선된 업무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삶의 본질에 대한 향상을 돕는 것이다


노버스메이는 박민효 대표이사가 솔루션컨설팅사업본부를 이창민 대표이사가 신규솔루션사업본부을 맡아서 이끌어가고 있다 솔루션컨설팅사업본부는 오토데스크, MS, 어도비, 안랩 등의 라이선스 기반 중심의 사업을 하며, 신규솔루션사업본부에서는 각 산업군의 규제 및 트렌드 맞는 Vertical 솔루션을 기획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2014년부터 매출의 대부분의 솔루션컨설팅사업본부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2019년도부터 타임키퍼를 시작으로 신규솔루션사업본부의 매출이 22%까지 확대되었다 2020년에는 35%까지 매출 비중에 대한 확대를 자신하고 있다

이 회사의 매출 성장률을 보면 충분히 가능하리라 본다. 2017년 매출액 20억원, 2018년 매출액 45억원, 2019년 매출액 83억원이며 2020년 올해 매출액 165억을 목표 (매출이익률 30%)로 하고 있다. 적지 않은 기업들을 인터뷰하였지만 이렇게 드라마틱한 매출 성장률 보기 힘들었다


이창민 대표이사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신규솔루션사업 중심의 이야기를 들어보기로 하자.

신규솔루션사업부의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다

- 워라밸문화를 만들 수 있는 ‘타임키퍼 솔루션’

- 작업자의 안전을 지켜주는 ‘세이프프로’

- 소프트웨어 컴플라이언스 및 관리 문제를 해결하는 ‘샘큐’


해당 솔루션들의 공통점들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솔루션이다. 현재는 시계열에 따른 데이터 분석 기능만 제공하지만 점차적으로 누적된 데이터를 이용와 머신러닝, 딥러닝을 적용한 예측, 비즈니스 시나리오 추천의 기능이 확대 적용되는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


2019년 노동시장의 핫 이슈라면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의무화를 꼽을 수 있겠다

사실 해당 법률은 2018년 2월 28일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국회를 이미 통과한 것이다. 기존 근로시간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되는 근무시간 의무화이다. 또한 올해 2020년 1월 1일부터는 50~300인 미만기업은 법적의무 적용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2021년 7월 1일부터는 5~50인 미만 기업에게도 의무 적용 된다.

해당 법률을 미 준수 사업주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처해진다.

정부 차원에서는 강제적인 적용과 별개로 해당 주52시간 근로제가 안정화 되도록 기업에게 월 최대 100만원 신규 채용인건비 지원, 월 최대 40만원 한도 재직자 임금 감소액 보전 비용을 기업에게 혜택으로 제공하고 있다


해당 법률이 적용된 후 기업들에게서는 아래와 같은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 되었다

■ 사례1. 원일00

- 퇴직 직원의 법 시행일에 맞춰 신고를 하여 회사의 직접적인 피해는 없었으나 최초로 내부자 고발에 의한 사건으로 발행함

■ 사례2. 유니000

- 회사 사원증으로 RFID로 출퇴근을 관리 하였지만,연구지원이 사원증으로 퇴근을 기록하고 직접수기로 작성하여 퇴직 시 기록으로 남겨 고용노동부로부터 시정을 받았던 사건으로 기록됨.

노사양측간 상호간의 신의성실을 기반으로 계약을 하지만, 이런 분쟁의 끝에는 결국에 관련 증거, 증빙으로 해결을 할 수 밖에 없다 이런 증빙을 할 없다면 그 시간과 노력은 더욱 많아진다

위와 같이 사업부, 인사담당자들은 이러한 이슈만 생기면 정신 없이 행정업무를 처리하기에 분주하다


이에 노버스메이 주52시간 근로관리 솔루션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업, 인사담당자에게 제공한다

■ 근무관리를 위한 인력감소

- 인건비 절감

- 추가고용문제 해결

■ 직원복지 개선

- 근무문화 개선

- 자기계발복지 가능

■ 합리적인 운영비

- OT시간에 대하여 합리적인 관리를 통한 연장 근로수당 감소

■ 업무 집중도 증가

- 효율적인 인력운용 가능, 인력 재배치

- 업무 집중도 증가로 인한 매출 증가


타임키퍼는 구축형, 클라우드형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 도입 예산에 따라서 유연하게 도입 가능하다

타임키퍼는 기본적으로 웹브라우저 환경을 제공하지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바일 App을 제공한다. 모바일 App에 대한 주요 기능 제공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중심의 GUI 로그인, 직무 설정으로 직무에 UI 및 기능 지원, 세분화, 2중 보안으로 부정 출퇴근방지, GPS를 통한 출근 등록, 30초마다 QR코드 변경으로 대리 출근 방지, 방문업체 등록, 방문업체 정보관리, 연장근무신청 및 계획 수립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솔루션에 대한 소개를 상당히 사업주, 인사담당자의 관리 중심으로 소개 하였지만 근로자 측면에서는 업무 시간, 근태에 관리 증빙에 대하여 부가적인 행정 업무가 감소하는 것이며, 계획적인 업무 관리, 추가 근무 설계로 예상치 못한 야근을 방지하여 피로로 감소 및 자기계발 시간이 확대 되는 것이다.


타임키퍼 주요 사용 고객은 티웨이항공, 건국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귀뚜라미, KT sat, 한국갤럽, LIG넥스원, 정림건축, BNK, KDB 생명, 대한상공회의소 등이 도입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고객군이 확대되고 있다


타임키퍼와 경쟁하는 주요 기업 및 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자

- Shiftee: 2017년 설립, 한국,임직원 12명,투적 투자액 10억원, https://shiftee.io/

- NBP 워크플레이스: 2017년 NBP 사업부의 솔루션으로 출시, 클라우드 형태로만 제공

- 더존비즈박스 알파: 2018년 출시 http://www.duzongroupware.com/ 클라우드 형태로만 제공

대부분의 경쟁사들은 클라우드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해당 솔루션의 시장은 넓고 도입에 대한 영업기회는 상당하다


두 번째로 소개할 솔루션은 노버스메이 본사를 방문해서 Demo를 보았을 때 신박한? 솔루션이었다.Safe-Pro (건설 산업현장 안전관리 솔루션)는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버스메이가 야심차게 준비한 스마트 IoT 솔루션이다

안전모가 스마트 기능을 하나보다?라고 넘겨 집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한 건설현장에 수 백명에 달하는 근로자들의 동선파악, 행동파악, 이상유무, 사고 확인을 현장에 있는 안전관리자가 한 분에 쉽게 확인 및 상황 관리가 가능한 솔루션이다.

세이프프로는 2019년 하반기에 개발되어서 남양건설 (2019년 도급순위 35위)을 시작으로 국내 선두 건설기업 롯데건설, 한화건설 등이 긍정적으로 도입 검토를 하고 있다.


안타깝게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산업재해 사고 사망률 1위의 불명예 국가이다

해당 사고로는 낙사, 끼임, 깔림, 뒤집힘, 화재폭발, 물체에 맞음, 기타 순으로 다양하다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 추정액은 약 25조원에 달한다

이에 국토해양부 건설산업과는 2018년 7월 300억 이상 건설공사 현장에 현장관리시스템 도입의무화를 발표하였으며, 공사 예산에 관련 안전관리비 항목 추가 및 기술개발 추진을 명시하고 있다.


노버스메이는 기업영업과 동시에 서울시, 성남시 등의 지자체와도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서울도시주택공사 SH는 건설 안전5대 캠페인을 실시하여 안전모 미착용 근로자를 현장에서 퇴출 및 과태료 부과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특단의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SH 5대 안전 캠페인

- 개인보호구 착용 독려

- 민관합동 안전수칙 준수 점검

- 안전신고포상제 도입 및 시민안전감시단 활동

- 감성 안정중심하고 요인 실태조사

- 시민 공모전 및 홍보


세이프프로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

- 안전모착용 여부/위치확인: 근로자의 안전모 착용여부 확인, 작업 위치 알림

- SOS기능: SOS 요청 기능, 사고지점 확인과 신속 대응 조치

- 안전관리 모니터링: 안전모 착용 여부를 관리자가 대쉬보드로 확인 및 현장 지휘

- 중계기능: 통신 음역 지역 제거


‘안전은 아무리 강조, 또 강조해도 지나칠 수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솔루션은 ‘소프트웨어자산관리 솔루션 SAM-Q’


기업의 IT담당자라면 누구나 골치아파하는 것이 자산관리이다 특히 S/W 자산은 도입부터 운용관리, 계약관리까지 끝이 없다 더군다가 S/W 특성상 사용자가 불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통제하기 힘든 까닭도 있기는 하다.


IT담당자는 구매한 소프트웨어 대하여 활용, 보완을 고민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관리하는 것 자체가 업무이다

SAMQ는 기업내 PC에 설치된 S/W 정보를 수집하여 정품 S/W 사용 현황을 관리하고 라이선스 관련 문제를 최소화 시켜주는 솔루션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설치된 제품 및 보유 제품을 한눈에 레포팅, 회사의 정품 보급률 확인, 비인가 소프트웨어 파악을 통한 침해, 법적 피해금액을 실시간 산출, 개인별/조직별 사용량 조회, 소프트웨어 라이선스키 관리 기능, H/W 자산관리 기능.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은 ‘저작권법 제11장 136조에 의거하여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소프트웨어/IT 자산관리에 고민인 관리자는 꼭 필요한 솔루션임이 틀림없겠다


아무리 좋은 솔루션, 제품을 만들어도 결국은 트렌드에 부흥해야한다.

트렌드라하면 즉, 법률적인 강제화 (Compliance, Regulation)에 힘이 실리지 않는 한 고객에게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

이런 점에서 청년기업 노버스메이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사업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 그리고 근로52시간 관리 솔루션, 작업현장 안정관리 시스템은 트렌드와 딱 맞아서 봄에 불어오는 순풍을 타고 상승을 기대할 만 하다.


모든 청년기업이 잘 되기를 기원하지만, 이렇게 불철주야 뛰어 다니는 기업은 더욱 잘 되기를 바란다.


노버스메이와 성장할 세일즈 파트너는 언제라도 연락을 기다리고 있다고 합니다


ⓒ 2020 본 정보에 대한 지적재산권은 오성일(본인)과 해당 기업에게 있습니다.

 
 
 

Recent Posts

See All

Comments


  • 유튜브
  • Paul's LinkedIn Icon
  • Paul's Facebook Icon

© 2022, Paul & Companies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